제목 | (제2021-71호) 2021년도 지역특화산업육성+(R&D)-지역주력산업육성 지원계획 공고문 | |
---|---|---|
첨부 1 | 1.(제2021-71호) 2021년도 지역특화산업육성+(R&D)-지역주력산업육성 지원계획 공고문.hwp | |
첨부 2 | 2.[붙임1] 지역특화산업육성+(R&D)-지역주력산업육성 연구개발계획서★.hwp | |
첨부 3 | 3.[붙임2] 지역별 지원계획1.zip | |
첨부 4 | 4.[붙임3] 관련규정1.zip | |
첨부 5 | 5.[붙임4] 중소기업 일자리평가 가이드라인(기업용).hwp |
중소벤처기업부 공고 제2021-71호
2021년도 지역특화산업육성+(R&D)
- 지역주력산업육성 지원계획 공고 -
지역산업 경쟁력 강화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에서
추진하고 있는「2021년도 지역특화산업육성+(R&D) - 지역주력산업육성」지원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, 지역기업 및 기관들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.
2021년 1월 29일
중소벤처기업부장관
1. 사업개요 |
|
□ (사업목적) 지역특화산업 중점 육성으로 지역 일자리 창출 확대 및 지역 기업 매출 신장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
□ (사업내용) 14개 시·도 48개 지역주력산업분야 중소기업의 고용창출형 신제품 개발을 위한 상용화 R&D 지원
<2021년 지역특화산업육성+(R&D) - 지역주력산업육성 공고 개요>
구 분 |
세부내용 |
구 분 |
세부내용 |
프로그램 |
지역특화산업육성+(R&D) 지역주력산업육성 |
추진체계 |
중소기업 주관단독 또는 산학연 컨소시엄 |
지원규모 |
749억원(국비 569, 지방비 180) |
협약방식 |
일괄협약 |
지원기간 |
2년 이내 |
기 술 료 |
영리기관 경상기술료 징수 |
지원한도 |
자유공모 : 연 2억원 내외 품목지정 : 연 2~3억원 |
신청접수 |
’21.2월∼3월 |
출연비중 |
사업비의 80% 이내 |
평가선정 |
’21.3월∼4월 |
* 지원규모는 지방비 예산을 포함한 금액이며, 지원기간․출연비중은 '최대'를 의미
2. 지원 상세내용 |
|
□ 신규과제 선정계획 : 749억원 (국비 569억원, 지방비 180억원)
* 상세 및 지역별 금액은 지역별 지원계획 및 품목개요서 참조
□ 지원내용
◦ (사업내용) 지역별로 여건‧특성을 반영하여 선정된 48개 지역주력산업분야 지역기업의 고용창출형* 기술개발 과제 집중 지원
|
<고용의무조건> |
|
|
|
|
ㅇ 국비(지방비) 2억원당 1명 신규 채용계획 제출 의무(채용 후, 6개월 이상 고용 유지) - 공고일 전 6개월부터 채용된 인원을 신규채용으로 인정 - 신규인력은 반드시 해당 연구개발과제에 참여하여야 신규채용으로 인정 - 자세한 사항은 ‘연구개발계획서 및 제출서류 양식’ 참조 |
◦ (추진체계) 지역의 중소기업 단독 또는 산학연 컨소시엄
- 주관연구개발기관 : 해당지역 주력산업분야의 기술개발 계획을 제시하고 연구개발과제 수행
- 공동연구개발기관 : 주관연구개발기관의 과제 수행에 필요한 기술지원 및 부품 개발 등
◦ (공모방식) 자유공모 또는 품목지정
* 품목지정은 대구, 울산, 광주, 전남, 제주 등 5개 지역에서 공모
◦ (지원규모 및 기간)
구 분 |
지원기간 |
지원예산 |
자유공모 |
12개월(단년) 또는 21개월(다년) |
4억원 내외 (연 2억원 내외) |
품목지정 |
12개월(단년) 또는 21개월(다년) * 품목개요서 개발기간에 따름 |
품목개요서에 따름 |
* 지원규모 및 지원기간은 신규과제 선정평가결과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
- 다년과제 지원기간 : 2021.4.1.~2022.12.31.(21개월)
* 일괄협약과제로서 ‘21.12월에 진도점검(주관연구개발기관 진도보고서 제출) 실시
- 단년과제 지원기간 : 2021.4.1.~2022.3.31. (12개월)
□ 신청자격
◦ (주관연구개발기관) 부가가치세법 및 동법 시행령 제8조에 따라 공고일 현재 해당 지역에 사업장, 공장, 연구소 중 1개를 보유하고 있는 중소기업
* 「중소기업기본법」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에 한하며, 중견기업과 대기업은 참여 불가
◦ (공동연구개발기관) 해당 지역 또는 타 지역(수도권 포함)에 소재하는 대학, 연구기관, 기업*, TP, 지역특화센터, 지역혁신센터, 지자체연구소 등
* 「중소기업기본법」제2조에 의한 중소기업에 한하며, 중견기업과 대기업은 참여 불가
◦ 「지역산업육성사업 운영요령」<별표 1>의 “신청자격 등의 사전 검토”의 “신청 또는 지원 제외 사유별 기준”에 해당하지 않아야 함
□ 평가기준
평가항목 |
세부 항목 |
평가지표 |
기술성 |
ㅇ기술개발 개요 |
ㆍ기술개발의 성과인 최종산출물은 본 사업목적과 부합하는가? ㆍ개발 내용이 기존방법과 차별성이 있으며, 우수한가? ㆍ기존 기술 또는 제품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는가? |
ㅇ사업목표 및 내용 |
ㆍ측정 가능한 정량적인 목표와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가? ㆍ제시한 과제목표가 질적으로 우수한지? ㆍ연차별 추진계획 및 추진내용은 적합하며 실현 가능한가? ㆍ제시된 목표가 사업목적과 부합한지, 목표달성을 위해 제시하고 있는 기술적 해결방법이 타당한가? |
|
사업성 |
ㅇ사업화 계획 |
ㆍ사업화를 위한 전략이 우수하고, 향후 시장을 분석·예측하는 등 사업화 타당성이 적절한가? ㆍ개발결과의 실용화·사업화 계획이 구체적인가? |
ㅇ매출효과 |
ㆍ매출목표 설정이 타당하며, 실현 가능성이 있는가? ㆍ수출목표 설정이 타당하며, 실현 가능성이 있는가? ㆍ신규시장 창출, 수입 대체효과 등이 기대되는가? |
|
경영능력 |
ㅇ추진체계 및 연구자원 |
ㆍ기관 구성은 본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는가? ㆍ수행기관별 담당 기술개발 내용 및 역할분담이 명확한가? ㆍ총괄책임자, 참여연구원이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역량과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가? |
ㅇ사전준비 및 연구능력 |
ㆍ기술개발을 위한 사전준비 과정이 우수한가? ㆍ최근 R&D 실적이 우수하고, 우수기술을 보유하였는가? ㆍ기술개발 관련 지식재산권 등을 보유하고 있는가? |
|
ㅇ예산편성 적정성 |
ㆍ사업비 산정이 관련 요령 및 과제 내용과 부합하게 편성되었는가? |
|
중점지원방향과의 부합성 |
ㆍ과제의 개발내용 및 추진방향이 지역주력산업별 중점 지원방향과 부합하는가 ? |
|
일자리 평가 |
ㅇ일자리의 양 |
ㅇ고용증가(고용보험 가입자 증가규모,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율) |
ㅇ일자리의 질 |
ㅇ성과공유(미래성과공유 협약, 성과급 지급, 임금수준 상승, 우리사주제도 운영 등) |
※ 일자리평가의 경우, ‘중소기업 일자리평가시스템’을 통해 점수 산출
※ 세부적인 평가방법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
3. 지역별 지원예산 |
|
(단위 : 백만원)
지역 |
국비 |
지방비 |
합계 |
부산 |
4,662 |
1,659 |
6,321 |
대구 |
5,110 |
1,719 |
6,829 |
대전 |
2,746.5 |
600 |
3,346.5 |
광주 |
4,365 |
1,659 |
6,024 |
울산 |
5,400 |
2,318 |
7,718 |
강원 |
3,954 |
1,480 |
5,434 |
충북 |
3,773 |
1,508 |
5,281 |
충남 |
3,113 |
477 |
3,590 |
전북 |
4,176 |
478 |
4,654 |
전남 |
3,497 |
1,522.9 |
5,019.9 |
경북 |
5,145 |
1,962 |
7,107 |
경남 |
4,672 |
1,400 |
6,072 |
제주 |
4,663 |
1,036 |
5,699 |
세종 |
1,606 |
168 |
1,774 |
합계 |
56,882.5 |
17,986.9 |
74,869.4 |
* 48개 주력산업별 지원예산은 [붙임1] 지역별 지원계획 참조
4. 사업비 부담비율 |
|
□ 연구개발기관 유형별 정부지원 및 기관부담 비율 적용
구분 |
정부지원연구개발비 또는 지방자치단체지원연구개발비 |
기관부담연구개발비 |
기관부담연구개발비 중 현금 |
중소기업 (주관 또는 공동) |
해당기업 연구개발비의 80% 이하* |
해당기업 연구개발비의 20% 이상 |
해당기업 기관부담연구개발비의 10% 이상 |
기타 |
해당기관 연구개발비의 100% 이하 |
필요 시 부담 |
* 「코로나-19 대응을 위한 지역산업육성사업 특별지침」에 따라 비율 산정
5. 기술료 징수 |
|
□ 과제 종료 후 평가결과 “혁신성과”, “보통”, “성실수행”인 과제의 영리기관(주관·공동)에게 성과물에 대한 실시권을 획득하는 대가로 기술료를 징수
* 최종평가 결과 ‘혁신성과’, ‘보통’, ‘성실수행’ 인 과제는 “완료” 과제로 간주
□ 기술료 징수방식 : “경상기술료” 의무 적용
- 세부사항은 「국가연구개발혁신법」, 「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」, 「중소기업 기술개발 지원사업 기술료 관리규정」에 따라 징수
기술료등납부의무기관 |
제3자로부터 기술료를 징수한 경우 |
직접 연구개발성과를 실시하여 수익이 발생한 경우 |
납부 상한 |
중소기업 |
기술료 징수액의 5% |
수익금액×기술기여도×5% |
정부출연금의 10% |
6. 유의사항 |
|
□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및 하위규정과 지역산업육성사업 운영요령 관련 규정이 상이할 경우에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및 하위규정을 우선 적용
□ 선정 평가위원회에서 연구개발계획서 내용을 검토 후 결과에 따라 지원기간(단년 또는 다년) 및 일부 연구개발비가 조정될 수 있음.
□ 본 사업은 실시간통합연구비관리시스템*(RCMS) 적용 대상 사업임.
* (RCMS) 금융권 연계 연구비 사용내역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(http://www.rcms.go.kr)
□ 시설ㆍ기자재의 과도한 구매 등 해당 사업목적과 부합하지 않게 연구개발비가 편성되고 사용된 과제는 평가 시 감점요인이 될 수 있음.
* 3천만원 이상 장비의 도입은 신규과제 선정평가위원회와 별도로 전문기관이 운영하는 장비도입심의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해야 가능함
□ 반드시 연구책임자를 포함한 참여연구자는 10% 이상 참여율(인건비계상률)로 인건비를 계상하여야 함.
□ 영리기관(주관·공동) 참여연구자 인건비 현금 계상 가능
* 「코로나-19 대응을 위한 지역산업육성사업 특별지침」 제5조(인건비 현금계상)
□ 영리기관(주관·공동)이 인건비를 현금으로 계상하는 경우, 연구개발비 현금의 50퍼센트 범위 내에서 계상함이 원칙
* 단, 산업기술혁신사업 공통운영요령 <별표 1> 산업기술분류표상 대분류가 “지식서비스” 이거나 소분류가 “S/W” 및 “설계기술” 등에 해당하는 영리기관 과제는 평가위원회에서 인정하는 경우에 한하여 연구개발비 현금의 50%를 초과하여 계상 가능
□ 간접비 내에서「기술자료 임치제도*」활용을 위한 현금 계상 가능
* 본 사업의 수행과제 결과물(기술자료)에 대하여 기술임치 수수료 계상 가능
* 해당 제도 활용 시, 협약기간 종료일로부터 2개월 이내에 기술자료를 임치해야함
* 별도의 「기술자료 임치제도 운용요령」 참고
□ ‘중소기업 일자리평가’ 산출결과를 평가지표로 적용
□ 「지역산업육성사업 운영요령」<별표 2> 에 따라 가ㆍ감점*을 적용하되, 요령에 의거하여 가점은 최대 5점을 넘을 수 없음.
* 우대 및 감점 세부기준은 ‘연구개발계획서 및 제출서류 양식’ 참조
□ ‘고용의무조건’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, 최종평가에서 “보통” 이상의 판정을 받을 수 없음.
□ 「국가연구개발혁신법」 제2조제3호나목부터 바목*까지의 규정에 해당하는 연구개발기관의 경우, 본 사업에 선정되어 수행하게 되어도 중소기업·비영리기관 공동과제에 해당되어 동시수행제한제외과제로 적용
* 대학, 정부출연연구기관, 지방자치단체출연 연구원, 특정연구기관 등 비영리기관
7. 지원 제외 대상 |
|
□ 신청과제가 기개발ㆍ기지원 과제와의 차별성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
* 단, 경쟁 또는 상호보완의 필요성이 인정되는 경우 및 연구주제가 유사하더라도 연구목표, 연구수행방식, 연구단계 등이 다른 경우 중복되는 과제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음
□ 국가연구개발사업에 참여제한 중인 자 또는 기업(또는 기관)
* 연구개발기관, 연구개발기관의 장, 연구책임자 등이 해당할 경우, 원칙적으로 지원제외 처리하며, 참여연구자의 경우 해당자 변경 필요
□ 현재 연구책임자로서 수행 중인 과제수가 3개를 초과한 경우
* 참여연구자의 수행 과제수가 5개를 초과할 경우, 참여연구자에서 제외 필요
□ 「지역산업육성사업 운영요령」<별표 1>의 “신청자격 등의 사전 검토”를 바탕으로 지원제외 되거나 사후관리 대상으로 별도 관리될 수 있음.
□ 지역산업육성사업(R&D)을 수행하고자 하는 기업이 당해연도 주관
기관으로 신규과제 신청 및 수행 가능한 과제 수는 아래와 같음.
수행중 과제수 |
신규 신청가능 여부 |
신규 수행가능 과제수 |
3개 |
불가 |
불가 |
2개 |
가능 |
1개 |
1개 |
가능 |
2개 |
0개 |
가능 |
3개 |
* 수행중 과제수는 중소벤처기업부 소관 R&D사업을 기준으로 함.
* 단, 기술개발 잔여기간이 접수마감일 현재 6개월 이내인 경우, 중소기업R&D
역량제고, 연구기반활용(舊 연구장비공동활용지원), 공정품질기술개발(현장형 R&D), 중소기업선도연구기관협력기술개발, 산학협력 거점형 플랫폼(R&D), 지역공동수요기술개발, 상용화기술개발사업(중소기업네트워크형기술개발), ‘19년까지 선정한 첫걸음협력R&D, 제품서비스R&D, 기술전문기업협력R&D, 공정‧품질R&D, 구매조건부신제품R&D, 중소기업 네트워크형R&D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수행과제수로 계상하지 않음.
* 지원제외 대상에 대한 세부내용은 ‘연구개발계획서 등 양식 및 관련 규정’ 참조
8. 절차 및 일정 |
|
공 고 |
⇨ |
사업계획서 접수 |
⇨ |
현장실태 조사 |
⇨ |
평가위원회 개최 |
⇨ |
이의신청 처리 및 선정 확정 |
⇨ |
협약체결 및 사업비 지급 |
’21.1.29. |
|
∼’21.3.4. |
|
∼’21.3월중 |
|
∼’21.3월말 |
|
∼’21.4월중 |
|
∼’21.4월말 |
* 상기 일정은 지역별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
9. 신청기간 및 신청방법 |
|
□ 신청기간
ㅇ 공고기간 : 2021.1.29.(금) ~ 2021.3.4.(목)
ㅇ 온라인 접수기간 : 2021.2.22.(월) 09:00 ~ 2021.3.4.(목) 18:00까지
* 접수마감일 18시 전까지 저장한 과제에 한해 20시까지 추가 제출가능
□ 신청방법
◦ 온라인 접수(홈페이지 입력) → 신청서류 제출(온라인 접수시 일체 업로드)
* 접수완료 후 수정할 경우 “제출하기”를 클릭한 후 “제출확인” 확인 필요(접수마감일 기준으로, 접수증이 있더라도 제출완료가 되지 않은 경우 접수취소)
◦ 온라인 접수처 : http://www.smtech.go.kr
* 온라인 접수 사용자 매뉴얼은 [접수처 홈페이지] 참조
* 마감일에는 접속인원 과부화로 전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니 조기에
입력완료 요망
* 온라인 접수 시 필수사항을 공란ㆍ허위로 작성한 경우 사전검토 시 불이익
* 온라인 접수 시 연구개발계획서 첨부 가능 용량은 50MB임을 유의
◦ 온라인 접수 문의처 : (국번없이) 1357
◦ 신청서(양식) 제공 : 연구개발계획서 양식 및 제출서류 등은 전문기관(한국산업기술진흥원) 홈페이지, 온라인 접수처에서 다운로드 가능
* (홈페이지) http://www.kiat.or.kr, (온라인 접수처) http://www.smtech.go.kr
ㅇ 신청서류 제출처 : 온라인 접수시 신청서류 일체 업로드
* ‘연구개발계획서 및 제출서류 양식’ 참조하여 신청서류 일체 업로드
*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모든 제출서류 일체 온라인 접수시 업로드
* 향후 추가서류 제출이 필요한 경우 별도 안내 예정
10. 관련 법령 |
|
※ 본 공고문에서 정하지 않은 사항에 대해서는 아래의 법령 및 규정을 적용
□ 지원근거
법령 |
관련 조항 |
국가균형발전특별법 |
‣ 제11조(지역산업 육성 및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 촉진) |
□ 관련규정 (한국산업기술진흥원 홈페이지 참조)
구분 |
관련 규정 |
법 |
‣ 국가연구개발혁신법 |
시행령 |
‣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령 |
시행규칙 |
‣ 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규칙 |
고시 |
‣ 지역산업육성사업 운영요령 |
‣ 코로나-19 대응을 위한 지역산업육성사업 특별지침 |
|
‣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개발비 사용 기준 |
|
‣ 국가연구개발사업 동시수행 연구개발과제 수 제한 기준 |
|
‣ 국가연구개발사업 연구노트 지침 |
|
‣ 국가연구개발정보처리기준 |
|
‣ 연구개발성과 관리·유통 전담기관 지정 고시 |
|
‣ 중소기업기술개발 지원사업 기술료 관리규정 |
|
‣ 기술자료 임치제도 운용요령 |
*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및 하위규정과 지역산업육성사업 운영요령 관련 규정이 상이할 경우에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 및 하위규정을 우선 적용
11. 접수 및 문의처 |
|
□ 주관부처 및 전문기관
구분 |
소속 |
문의전화 |
주관부처 |
중소벤처기업부 지역기업육성과 |
042-481-1680 |
전문기관 |
한국산업기술진흥원 지역기업혁신팀 |
02-6009-3722 |
* 사업계획서 작성 및 증빙서류 관련문의는 아래의 지역별 관리기관에 문의
□ 지역별 관리기관
기관명 |
주소지 |
문의전화 |
(재)부산지역사업평가단 |
부산 사상구 엄궁로 70-16, 부산테크노파크 1층 112호 |
051-315-9264, 9247, 9265, 9246 |
(재)대구지역사업평가단 |
대구 북구 경대로17길 47, 경북대학교 IT융합산업빌딩 10층(1003호) |
053-818-9591, 9599, 9594 |
(재)대전지역사업평가단 |
대전 유성구 문지로 193, 한국과학기술원 문지캠퍼스 학부동 202호 |
042-864-4275, 4278, 4271 |
(재)광주지역사업평가단 |
광주 북구 추암로 249, 광주이노비즈센터 9층 |
062-604-9124 |
(재)울산지역사업평가단 |
울산 중구 종가로 362-11, 울산과학기술진흥센터 201호 |
052-248-5763, 5764, 5766 |
(재)강원지역사업평가단 |
강원 춘천시 강원대학길 1, 강원대학교 60주년기념관 8층 |
033-258-2681, 2683, 2684 |
(재)충북지역사업평가단 |
충북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오송생명1로 194-41, 충북산학융합본부 기업연구1관 203호 |
043-278-2718, 2716 |
(재)충남지역사업평가단 |
충남 천안시 서북구 광장로 215, 충남경제종합지원센터 6층 |
041-415-2165 ~ 2169 |
(재)전북지역사업평가단 |
전북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567, 전북대학교 건지원 1층 |
063-278-9738, 9739
|
(재)전남지역사업평가단 |
전남 나주시 그린로 370(빛가람동), 에너지밸리기업개발원 1층 |
061-339-9721∼24 |
(재)경북지역사업평가단 |
경북 경산시 삼풍로 27, 글로벌벤처동 4층 2403호 |
053-818-9514, 9513, 9521, 9504 |
(재)경남지역사업평가단 |
경남 창원시 의창구 창원대로18번길 22, 본부동 405호 |
055-259-3408, 3404, 3410, 3401 |
(재)제주지역사업평가단 |
제주 제주시 첨단로 213-3, 스마트빌딩 420호 |
064-759-7424~26 |
* 세종특별자치시 지원과제에 대한 평가ㆍ관리는 (재)충남지역사업평가단에서 담당
참고 |
|
국가연구개발혁신법 시행(‘21.1.1)에 따른 용어 안내 |
□ 지역산업육성사업 운영요령 제2조의 용어를 사용하되 추후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부합하도록 규정 개정 및 SMTECH 시스템 정비를 실시할 예정이오니 용어에 혼선이 없도록 아래 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.
지역산업육성사업 운영요령 및 하위규정 |
국가연구개발 혁신법 및 하위법령 |
사업계획서 |
연구개발계획서 |
주관기관 |
주관연구개발기관 |
참여기관 |
공동연구개발기관 |
총괄책임자 (주관기관책임자) |
연구책임자 |
참여기관책임자 |
공동연구개발기관책임자 |
참여연구원 |
참여연구자 |
과제 |
연구개발과제 |
수행기관 |
연구개발기관 |
성과 |
연구개발성과 |
사업비 |
연구개발비 |
정부출연금 (국비) |
정부지원연구개발비 |
지방비 |
지방자치단체지원연구개발비 |
민간부담금 |
기관부담연구개발비 |
참여율 |
인건비계상률 |
전담기관 |
전문기관 |
평가위원회 |
연구개발과제평가단 |
■ 담당자정보
사업 담당자 | 이경찬 | ||
부서 | 정책기획단 | 직급 | 전임연구원 |
연락처 | 055-259-3327 | 이메일 | channy@gntp.or.kr |